파일이름 일괄변경하는 방법. 이번 글에서는 여러개의 파일의 이름을 한번에 변경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이 방법은 연관된 파일들의 이름을 변경할 때 유용하다고 생각됩니다. 아래 제가 스크린샷으로 찍은 사진이 보일겁니다. 저 사진속에 나와있는 폴더의 이름을 바꾸는 것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이름 변경하기. 먼저 변경할 파일들을 선택해주세요. (드래그해주시거나 ctrl키를 누른채로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선택하셨다면 F2(파일 이름변경하는 단축키 입니다.), 우클릭(이름 변경)을 눌러주세요. 이렇게 누르면 하나의 파일의 이름을 바꾸면 다른 파일들의 이름도 일괄적으로 변경됩니다. 2018/06/03 - [윈도우10] - 윈도우10 자동로그인 설정 2018/06/06 - [윈도우10] - 윈도우10 시작프로그..
윈도우 10 32비트 64비트 32비트와 64비트란? 간단하게 설명하겠습니다. 먼저 32비트입니다. 1. 32bit, x86으로 표기합니다. 2. 렘을 4기가 이상 인식하지 못합니다. 이번에는 64비트입니다. 1. 64bit, x64로 표기합니다. 2. 4gb이상의 렘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32비트와 64비트에 대하여 말해보았는데요. 사양이 좋지않은 컴퓨터라면 32비트를 사용하셔도 되지만 4기가 이상의 렘을가지고 있으시다면 64비트의 윈도우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Q. 제가 32비트인데 포맷하지 않고 64비트로 업그레이드 할수 없나요? A. 둘다 비슷하지만 엄연히 다른것이므로 업그레이드는 불가능한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재설치해야합니다.) 이번에는 자신의 컴퓨터가 몇 비트인지 확인하기입니..
c드라이브 d드라이브 합치기 조건: c드라이브와 d드라이브가 같은 디스크여야 한다. ex)ssd(c드라이브)+하드디스크(d드라이브)= x ssd(c드라이브+d드라이브)=O 설명하는 컴퓨터 환경.(제 디스크 환경입니다.) 디스크0은 ssd입니다. 디스크1은 hdd입니다. 디스크 관리 먼저 저는 이렇게 3개의 드라이브가 있습니다. ssd+hdd(파티션1+파티션2) 이 파티션1과 파티션2부분을 합쳐보겠습니다. 내컴퓨터를 우클릭하면 여러 메뉴가 나오는데 그중에서 관리를 선택하세요.. 관리에 들어가면 왼쪽의 메뉴에서 디스크관리를 들어가주세요. (아래 사진처럼 나올겁니다.) 이렇게 나왔으면 합칠 하드중 하나를 삭제해주세요. 삭제할 파티션에 마우스우클릭하시고 볼륨삭제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당연히 중요한 자료가있다면..
C드라이브와 D드라이브로 나누기 하드디스크를 C드라이브와 D드라이브 두개의 파티션으로 나누는 방법과 주의할점에 관한 글입니다. 먼저 바탕화면에 있는 내 컴퓨터로 가주세요. 내 컴퓨터를 우클릭하면 여러 메뉴가 나오는데 그중에서 관리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아래 사진이 잘 안보일 수 있는데요. 왼쪽의 메뉴에서 디스크 관리를 선택해서 들어가주세요. (아래처럼 나올겁니다.) 여기서 제 노트북은 1TB하드 1개와 256GB의 SSD로 되어있어서 디스크가 두개입니다. 그래서 지금은 따로 나누지 않아도 C드라이와 D드라이브로 되어있습니다. 하나의 하드를 나누어보자. 하지만 이렇게 하드를 두개를 달아놓지 않아도 하나의 하드를 용량을 나누어 사용하는 방법을 이제부터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제 1TB하드를 나누면서 설명드리도..
윈도우10 캡쳐도구 단축키 윈도우10 컴퓨터에서 캡쳐를 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 한가지가 윈도우10에 내장되어 있는 캡쳐도구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캡쳐도구 먼저 캡쳐도구 위치입니다. 캡쳐도구는 왼쪽 하단에 보이는 시작메뉴로 들어가세요. 시작메뉴에서 windows 보조프로그램 폴더를 찾아서 들어가세요. 캡쳐도구가 보일텐데 캡쳐도구를 우클릭하세요. 자세히->파일 위치열기를 눌러주세요. 폴더가 나올텐데요. 이곳에서 캡쳐도구를 우클릭해주세요. 속성에 들어가시고 바로가기 키에 원하는 키를 지정해주세요. (저는 키패드쪽 +버튼을 사용중입니다.) 2018/06/06 - [윈도우10] - 윈도우10 시작프로그램 추가 2018/06/03 - [윈도우10] - 윈도우10 자동로그인 설정 2018/06/0..
윈도우10 시작프로그램 추가 컴퓨터가 켜지면 자동으로 프로그램등을 시작하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을 시작프로그램이라고 합니다. 이 글은 이런 시작프로그램을 추가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주의사항. 많이추가하면 느려집니다.(적당히 추가하는게 좋습니다.) 1.실행창을 실행하세요. 화면 왼쪽의 하단에 보이는 윈도우모양의 버튼을 우클릭해서 실행을 눌러주세요. 단축키는 window키+R입니다. 화면의 왼쪽에 보이는 윈도우 모양의 버튼을 우 클릭해서 실행을 눌러주세요. 실행창에 shell:startup을 써주세요. ->확인 2. 시작프로그램 추가. shell:startup을 입력하면 폴더하나가 나올겁니다. 그 폴더에 자신이 추가할 시작프로그램을 추가해주세요. 바로가기등을 넣어주시면 됩니다.(제 기억에는 ..
윈도우10 바로가기 만들기바로가기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즐겨찾기 같은 기능웹사이트 뿐만아니라 프로그램도 가능하다.만들기 간편하다.만들어서 바탕화면에서 사용하기 편하다. 만드는 방법.만드는 방법은 정말 간단합니다.먼저 바로가기를 만들 위치로 갑니다.저는 바탕화면으로 가겠습니다.바탕화면에서 빈 공간을 우클릭합니다.나온 메뉴중에서 새로만들기->바로가기를 눌러줍니다.이렇게 바로가기 만들기를 누르면 바로가기 만들 항목을 선택하라고 합니다.이곳에 자신이 원하는 사이트 주소를 입력하거나 찾아보기를 눌러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시면 됩니다.이제 바로가기 이름을 정해주시고 마침을 눌러주시면 됩니다.이렇게 바로가기가 완성되었습니다.이 바로가기 파일을 꾸미고싶으신분은 아이콘 파일을 구하셔서 적용하시면 됩니다.꾸미는 방법은 ..
윈도우10 자동로그인 설정.특정한 설정을 하지 않는다면 윈도우10에서는 컴퓨터를 켤때 로그인창이 나온다.이 로그인은 필요한 사람에게는 좋은 기능이겠지만 필요하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컴퓨터가 켜지는 시간이 늘어나게 만드는 귀찮은 기능중 하나이다.자동로그인 설정하는 방법.1.실행창을 불러온다.(단축키는 windows키+R이다.)단축키를 사용하지 않고 여는 방법은 왼쪽 하단의 윈도우모양을 우클릭해서 실행창을 불러오면된다.2.실행창에 netplwiz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른다.3.사용자 계정창이 나올 것이다."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해야 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음"을 체크해제한다.4.확인을 누르면 자동 로그인이라는 창이 나온다.이곳에 지금 사용중인 사용자의 암호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르면 자동로그인이 가능해진다.
바탕화면에 내컴퓨터, 제어판 추가하는 방법저같은 경우에 컴퓨터를 포맷했을때 제일 먼저 하는것이 바탕화면에 아이콘을 추가하는 것입니다.포맷하고 바탕화면을 보면 휴지통밖에 없어서 휑하거든요.(물론 내컴퓨터나 제어판이 바탕화면에 있는게 편해서이기도 함.)추가하는 방법.추가하는 방법은 간단하다.1. windows설정으로 들어간다.(왼쪽 하단에 보이는 윈도우모양을 누르고 설정(톱니바퀴모양)을 누르면 된다.)2. windows설정으로 들어갔다면. 개인설정으로 들어가준다.3. 개인설정에 테마를 들어가면 관련설정에 배경 화면 아이콘 설정이 보인다.눌러주자.4.바탕화면 아이콘 설정을 들어가면 아래와같은 창이 나올것이다.이곳에서 원하는 바탕 화면 아이콘을 체크하면 바탕화면에 아이콘이 표시된다.
윈도우10에서 블루투스 켜기.but.대부분의 노트북은 블루투스를 지원하지만 대부분의 데스크탑 컴퓨터는 블루투스를 지원하지 않아 장치를 구매해야 가능하다.(가끔 좋은 메인보드에 블루투스 기능이 들어가있지만 대부분은 없다고 보면됨.)1.블루투스 드라이버를 설치하자.블루투스 드라이버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연결을 하려고 하면 안되는 경우가 있다. 이럴때는 블루투스 드라이버를 설치해주면 된다. (물론 블루투스 기능을 지원해야한다.)블루투스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방법은 아래의 사이트를 참고하자.http://intunknown.tistory.com/2242.블루투스 켜기.블루투스 드라이버도 설치했다면 이다음은 어렵지 않다.먼저 윈도우10의 왼쪽 하단에 보이는 윈도우모양을 눌러보자.윈도우모양을 누르면 여러가지 설정이..